위 세가지를 먼저 그림으로 이해해보면 아래와 같다.
Transformation과 Transduction은 모두 자연에서도 일어나는 현상으로 prokaryote cell이 외부 DNA를 받아들이는 것이다. 실험실 환경에서 인위적으로 Transforamtion이 더 잘 일어나도록 처리하여 cell을 competent하게 만들 수 있다. Transduction은 외부 DNA 주입에 바이러스가 관여한다.
한편, Transfection은 실험실 환경에서만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현상으로 eukaryotic cell에 외부 DNA를 넣어주는 방법이다.
Reference
728x90
반응형
'Biology·Medical Sci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용어 설명] in silico, in vitro, in vivo, ex vivo의 구분 (0) | 2021.10.02 |
---|---|
숫자로 보는 생물학 (Numbers in Biology) (0) | 2021.07.28 |
[용어 설명] Exon, Intron, coding region (CDS), Open reading frame (ORF) (0) | 2021.07.28 |
[MS] Mass spectrom 간단 정리 (0) | 2021.04.28 |
[용어] Similarity와 Identity의 차이 (0) | 2021.04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