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리
- Myrmecophagous mammals (개미만 먹는 포유류)은 진화적으로 먼 경우에도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다 -> 식단 적응이 gut microbiome의 수렴에 큰 영향을 미쳤다 (물론 phylogeny의 영향도 있다) (Delsuc, 2014).
- Blood-feeding birds and bats (피만 먹는 새와 박쥐)는 taxonomy 측면에서 gut microbiota가 수렴하였다. -> 식단이 영향을 미쳤다 (물론 phylogeny의 영향도 있음을 보였다) (Song, 2019).
- Bamboo specialization (대나무만 먹는 동물)의 경우 low-abundance를 갖는 OTUs가 많이 공유하였다 (대나무를 먹지 않는 sister species에서는 그보다 적은 수의 OTUs를 공유하였다) (McKenney, 2018).
Reference
- Delsuc, Frédéric, et al. "Convergence of gut microbiomes in myrmecophagous mammals." Molecular ecology 23.6 (2014): 1301-1317.
- Song, Se Jin, et al. "Is there convergence of gut microbes in blood-feeding vertebrates?."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374.1777 (2019): 20180249.
- McKenney, Erin A., et al. "Bamboo specialists from two mammalian orders (Primates, Carnivora) share a high number of low-abundance gut microbes." Microbial ecology 76.1 (2018): 272-284.
728x90
반응형
'Study > Paper Summa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rticle] GMrepo: 사람의 장내미생물 데이터베이스 (0) | 2021.07.19 |
---|---|
[Article] gcMeta: Microbiome data 분석 및 저장소 (0) | 2021.07.19 |
[Article] 장내 미생물 Christensenellaceae: 건강 및 유전과의 관련성 (0) | 2021.07.19 |
[Article] 사람의 경우 유전적 요인보다 환경적 요인이 마이크로바이옴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(0) | 2021.07.18 |
[Article] Gut microbiome은 바뀐 식단에 빠르게 반응한다. (0) | 2021.07.18 |